∎제재 정리
갈래 |
자유시, 서정시 |
성격 |
상징적, 의지적 |
주제 |
언제나 새로운 마음으로 인생(삶)을 살아가고자 하는 의지 |
특징 |
․ 상징적 소재를 사용하여 말하는 이의 삶에 대한 자세를 표현함. ․ 3연을 중심으로 1, 5연과 2, 4연이 의미상 대칭을 이룸. |
∎새로운 길 해석 및 해설
∎이 시의 구성
1연 |
길을 걸어 숲과 마을로 향하는 ‘나’ |
2연 |
언제나 새로운 마음으로 길을 걸어감. |
3연 |
길을 걸으며 만나는 존재들 |
4연 |
앞으로도 새로운 마음으로 길을 걸어갈 것을 다짐함. |
5연 |
길을 걸어 숲과 마을로 향하는 ‘나’ |
∎이 시에 나타난 말하는 이의 상황과 태도
상황 |
․ 숲과 마을을 향해 걸어가고 있음. ․ 길을 걸어가며 다양한 존재를 만남. |
태도 |
늘 새로운 마음으로 끊임없이 길을 걸어가겠다고 다짐함. |
∎이 시에 나타난 상징적 표현
․ ‘길’: ‘인생(삶)’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‘길’이라는 구체적인 개념으로 나타내어 머릿속에서 쉽게 떠올릴 수 있도록 도와줌, 시의 주제를 강조함.
★꼭 알아 두기
∎비유의 개념
․ 비유의 개념: 표현하려는 대상(원관념)을 다른 대상(보조관념)에 빗대어 나타내는 표현 방법
․ 시에 나타난 비유의 효과: 대상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보다 참신한 느낌을 줌, 대상을 구체적 사물에 빗대어 표현하여 더욱 생생한 느낌을 줌.
∎비유의 종류
․ 직유: ‘같이’, ‘처럼’, ‘-듯이’ 등의 연결어를 활용하여 한 대상(원관념)을 다른 대상(보조관념)에 직접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
․ 은유: ‘㉮는 ㉯이다.’, ‘㉮는 ㉯’ 형식으로 한 대상을 다른 대상에 암시적으로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
․ 의인: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처럼 표현하는 방법
∎상징의 개념
․ 상징의 개념: 표현하려는 추상적인 개념(원관념)을 직접 드러내지 않고 구체적인 대상(보조관념)으로 나타내는 방법
․ 시에 나타난 상징의 효과: 대상이 지닌 본래의 의미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보다 넓고 풍부한 의미를 표현할 수 있음.
∎비유와 상징을 활용했을 때의 효과
․ 대상을 참신하게 표현할 수 있음.
․ 대상을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표현할 수 있음.
․ 대상의 의미를 다양하고 깊이 있게 표현할 수 있음.
★꼭 알아 두기
∎비유의 개념
․ 비유의 개념: 표현하려는 대상(원관념)을 다른 대상(보조관념)에 빗대어 나타내는 표현 방법
․ 시에 나타난 비유의 효과: 대상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보다 참신한 느낌을 줌, 대상을 구체적 사물에 빗대어 표현하여 더욱 생생한 느낌을 줌.
∎비유의 종류
․ 직유: ‘같이’, ‘처럼’, ‘-듯이’ 등의 연결어를 활용하여 한 대상(원관념)을 다른 대상(보조관념)에 직접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
․ 은유: ‘㉮는 ㉯이다.’, ‘㉮는 ㉯’ 형식으로 한 대상을 다른 대상에 암시적으로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
․ 의인: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처럼 표현하는 방법
∎상징의 개념
․ 상징의 개념: 표현하려는 추상적인 개념(원관념)을 직접 드러내지 않고 구체적인 대상(보조관념)으로 나타내는 방법
․ 시에 나타난 상징의 효과: 대상이 지닌 본래의 의미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보다 넓고 풍부한 의미를 표현할 수 있음.
∎비유와 상징을 활용했을 때의 효과
․ 대상을 참신하게 표현할 수 있음.
․ 대상을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표현할 수 있음.
․ 대상의 의미를 다양하고 깊이 있게 표현할 수 있음.
'국어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리말 어휘의 체계(고유어,외래어,한자어)와 어휘 양상(지역방언, 사회방언, 전문어) (0) | 2021.04.22 |
---|---|
포근한 봄 해석 및 해설 주제 핵심정리 오규원 (1) | 2021.04.05 |